목록어려움 (2)
내공간
마르크스의 노동통제론 스미스와 달리 마르크스는 분업에 가져오는 부정의 측면에 초첨을 맞추었다. 노동과정이 분업화되면서 정노동과 육체노동이 분리되고, 이때 정신노동은 노동자로부터 떨어져 관리자에게 이양되어간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정신노동(관리적)과 육체노동(생산적) 사이에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형성된다는 것 인데, 이러한 그의 관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메뉴백처 시대에 접어들면서 전통 수공업 시대의 장인들이 갖는 노동의 자율성과 숙련은 해체된다. 노동에 대한 자본의 지배력을 높이는 위계와 통제수단으로 작동된다. - 노동의 소외, 종속, 착취 노동자가 스스로 기획하지 못하고 관리자가 지시에 따라 하는 무력감, 자율적이지 않고, 같은 일(작업, 노동)을 반복함으로 느끼는 인간의 존재에 대한 회의감, 작업지..
노동과정의 이론 단지생산을 위한 기술적 과정이 아니라 여러 사람 또는 집단이 모여 같이 일하는 사회적 과정이다. 노동과정의 역사적 변화와 문제점들에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 할 수 있을 것이다. 현재 나타나는 새로운 모순적 현상을 짚어보면 향후과제가 무엇안자 성찰해보기로 한다. 노동과정이란 무엇인가? 노동과정의 중요성 인간은 본래 일하기 싫어한다고 일반적으로 말하기는 어렵다. 일을 싫은지에 묻기 보다 어떤 조직에서 어떻게 일하느냐에 달려있다.만약 일을 고역으로 여긴다면 이는 노동과정이 비인간적이기 때문이며,따라서 즐겁게일할수 있도록 노동과정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노동과정의 요소 비판적 산업사회학의 효시 할수 있는 마르크스의 자본론 1권은노동과정을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세가지 요소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