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어렵다 (1)
내공간
노동통제과 노동과정론 (5)-산업사회의 이해
노동통제와 노동과정론 1970년대 중반이후 마르크스의 관점을 이어받는 ‘노동과정론’이 발견한다. 브레이버만, 애드워즈, 프리드만, 뷰라보이 등이 이에 속하는데, 이들은 노동과정을 노동통제의 관점에서 바라보았다는 데 공통점이 있다. > 브레이버만의 노동과정론* 분업적 노동은 노동에 대한 자본의 통제수단이라고 비판하면서 테일러주의의 확산은 바로 이러한 자본의 노동통제에 전략에 기인하다고 주장했다 과거 수공업적 장인노도에서는 결합되어 있었던 구상(conception)과 실행의 기능이 테일러식 분업을 통해 분리되어 관리자의 통제가 강화 되었다는 것이다. 장인노동이 갖고 있었던 구상기능을 관리의 영역으로 분리하면서 노동자의 자율성과 사회적 지위를 떨어뜨리고 관리자의 지시대로 움직이는 탈수련화 된 단순반복 작업자로..
티비
2020. 12. 18. 16:26